갓생 도전 2023. 2. 1. 01:54

안녕하세요 갓생 도전입니다. 오늘은 제가 체인저스가 된 첫 날입니다! 두둥

 

강의 들으면서 정리한 주피터 노트북과 강사님이 공유해주신 강의 자료를 바탕으로 TIL을 작성하겠습니다.

 

오 앞으로는 실시간 정리 노트북은 깃헙에 올릴까봐요 잔디 심기 🌱🌱🌱

하여간 머리속에 든 거라곤 꼼수 부릴 생각밖에 없습니다


 

 

오늘의 커리큘럼

IT 산업과 프로덕트/서비스 이해:  

IT비즈니스와 IT프로덕트(서비스) 기획, '프로덕트/서비스' 기획, PM/PO, 프로덕트 디자인, UX/UI 기획의 차이

 

 

오늘 배운 것, 오늘 한 것

1. Ice Breaking 겸 동기부여

  - 기업이 원하는 인재: 실력(경험) + 성실 + 성향(culture fit, etc.) 

  - Performance = motivation * knowledge * application * habit

    - 이 때, 지식은 직접 실습, 발표 등을 하며 체화될 수 있다.

  - Sacred 7: 뛰어난 PM이 가지고 있는 7가지 지식 분야

오른쪽의 책에서는 PM으로서 갖춰야 할 역량를 7가지로 소개하고 있다.

  • 비즈니스(도메인 지식)
  • 제품설계
  • 사용자경험
  • 데이터: 서비스 발전과 개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함
  • 법률과 정책: 해당 도메인에 대한 법률과 정책을 알고 있어야 함
  • 심리학: 사용자경험과 연관!
  • 그로스(마케팅)

 

그리고 우리는 이 교육과정을 통해 7가지 분야에 대해 각각을 따로, 또 같이 배우고 실습할 예정이다.

 

 

2. 서비스와 기획

서비스: 누군가가 무언가를 하도록 돕는 어떤 것

- 기술의 영향을 받음(ex.우편, 메일, ...~... , 메타버스

- 서비스는 제공되는 채널(기술)에 맞게 디자인(설계)되어야

 

기획이란?
Why: 무언가 해결해야 하는 것을 풀기 위해
When: 언제 시작하고 언제 마무리하며
Who: 누가 함께 하고
What/How/Where: 어떤 세부적인 일을 어디서, 어떻게 나누는지
=> 결국 어떤 업무를 하더라도 기획이 그 시작이 된다.

 

전사적인 규모의 전략기획 부터 사업기획, 상품/서비스 기획까지 세분화하여 간단히 알아보자.

  • 전략기획>사업기획>상품,서비스기획
  • 전략 기획
    • 회사와 사업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Why)
    • 제시만 하고, 실행은 다른 팀(현업부서)에게 시킴
    • 다른 팀이 잘 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역할도 함
  • 사업 기획(사업 개발)
    • 신규 사업을 만들거나 준비하는 조직 (전략기획팀이 겸하기도 함)
    • What과 How를 구체화
    • 아이템 찾는 부서
    • 사업기회 발굴, 사업성 평가, 타당성 조사, 사업계획서 작성 등을 함
  • 상품 기획(MD)
    • 팔 수 있는 것을 어디서 가져오거나(소싱), 직접 개발함
    • 트렌드를 파악해 잘 팔릴만한 아이템을 싸게 구해와 비싸게 파는 역할
    •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안 팔리던 것을 잘 팔리게 해야할 때도 있음
    • 시장(소비자) 조사, 제조사 찾기, 가격 결정, 재고 관리, 진열 등
  • 서비스 기획
    • 아이디어를 구체화시켜 이렇게 만들어 주세요라고 얘기 하는 것
    1. 시장과 고객의 어려움을 발견해 그 어려움을 해결할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2. 아이디어를 기능으로 설계하며 사용자가 어떻게 쓰게 할지 고민해
    3. 사용자의 동선과 정보의 흐름을 고려해 서비스의 화면을 설계하고 문서화

                  => 서비스(=프로덕트)를 만들어지게 하는 기획.

 

3. IT와 IT 비즈니스

3-1. IT(Information Technology)

IT 비즈니스를 크게 나눠보자면, "시간을 뺏는" 비즈니스와 "시간을 아껴주는" 비즈니스로 구분할 수 있겠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필두로 한 SNS, 구글, 네이버, 카카오톡 등이 전자에 해당하겠고,

효율 극대화를 통한 생산성 제고를 해주는 노션, 슬랙 등을 후자로 볼 수 있다. 

 

 

IT 서비스 기획이란?

 

Business, UX(사용자 경험), Tech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것으로, 

- 고객에게 의미가 있고

- 회사에 수입을 가져오며 (Biz)

쓰기 편하며(UX) 구현 가능한 것(Tech)

을 기획하여야 한다.

 

  • 서비스 기획은 Zero to One, or One to N
    •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거나 (zero to one)
    •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고 성장시키거나(one to N)
    • 1: 신규개발 , N: 확장

 

그렇다면!!! 좋은 IT 서비스란?

  •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게 한다
  • 익숙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 사전 지식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다
  • 최소한의 단계만 필요로 한다
  • 끊김과 막힘이 없다
  • 도움을 받는 것이 쉽다
  • 돈이 되어야 한다

 

4. '프로덕트/서비스' 기획, PM/PO, 프로덕트 디자인, UX/UI 기획의 차이

팀플로 대체. 31일(화) 발표 예정

우리팀은 UX/UX 기획자에 대해 조사했는데 알고는 있었지만 경력을 요하는 기업이 매우매우매움애ㅜㅁ매룽맬ㅇ 많았다...그럼 저는 어디서 경험을 쌓죠 설명해 보시라구요  그리고 도메인지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꼈고 얼른 피그마 등의 툴을 배우고 싶다!

 

느낀점, 앞으로 할 일

느낀점

- 막연히 서비스 기획 하면 좋겠다~라고 생각했었는데 정확히 서비스가 무엇이고, 그 중에서도 IT서비스는 무엇인지 등을 가시화 할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더 이 분야로 취업하고 싶어졌다!!!!!!

- 자기소개할 때 내가 한 말은 다 100% 진심이었는데 왜 다들 웃었는지 모르겠다....................힝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만 님들 창업하면 저 좀 뽑아주셈 

 

- MBTI xNTx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특히 ENTP와 INTP가 많아 보여서 매우 신기했다. 나름 생각해본 바로는, 서비스 기획이라는 직무 자체가 창의적이고 틀에 박힌 일을 지루하다고 느끼는 NT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이렇게 NT가 많다고? 싶어서 찾은 두 번 째 이유는,,,,

- 바로 이 교육과정의 이름 때문이다. 무려 체인저스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이 수업을 들으면 나도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싶어지는 교육과정명,,, 나만 이랬을 시 머쓱

암튼 이게 아마 또 다른 큰 요인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엥 North Star Matric & OMTM? ㅎㅋ)

 

- 우리팀 좋다,,, 일회성인지 다회성인지도 모르지만 다들 너무 좋은 사람이고 열의도 넘쳐났다 그래서 난 우리의 산출물이 꽤나 만족스럽다 히히

 

할 일

- IT 역사에 대해 공부하고 포스팅 하기 (Navigator, app, GenAI, ... )

- 우리 팀이 찾은 UX/UI 기획자의 역량으로 텍스트 마이닝 해보기 (Python wordcloud 모듈 사용)

- ADsP 같이 공부하자고 꼬시기.....안 될 시 독학 힝입니다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