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Today or Two-day I Learn

230131 TIL #That day I Learned,,, 자꾸밀리는 나의 챌린지

안녕하세요 갓생 도전입니다. 결국 저의 TIL 챌린지는 two day도 아니고 that day 의 경지에 도달해버렸군요

하지만 10시부터 5시까지 수업을 들은 후 7시에 자습을 마치고 곧장 알바를 가 10시 30분이 지나 집에 들어와서 대충 저녁 먹고 씻으면 어느새 자정이 지나있단 말입니다 네?!?! life is not life 사는게 사는게 아닙니다

하지만 꾸준히 하는게 어디에요 안 그렇습니까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갓생길도 한 발짝부터 하하

그럼 오늘도 각설하고 1월의 마지막 날 배운 내용에 대해 정리를 하겠습니다

 

본 문서는 그로스쿨의 강의자료와 본인의 필기를 바탕으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그럼 시작


오늘의 커리큘럼

린스타트업, PMF, MVP, - AARRR, 퍼널, 고객여정, OMTM, KPI, 애자일 방법론

오늘 배운 것

1. 팀 과제 발표 (서비스 기획 분야 직무 별 역량, 요건 등 조사)

총 다섯 팀으로 나뉘어 각 팀 별로 서비스 기획자, Project Manager, UX/UI기획자, Product Owner, Product Manager에 관해 해당 직무가 무엇이며, 어떤 일을 하고(JD 분석), 어떤 자격을 요하는지 그리고 현재 해당 직무로 지원할 수 있는 기업은 어디가 있는지에 관한 짧은 발표 진행

 

우리 조는 UX/UI 기획자에 대해 조사했고, 대기업, 중견 및 대기업 계열사,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세 파트로 나누어 JD를 분석했다. (발표자료 일부 주말에 업로드 예정)

예상은 했으나 역시 경력자를 구하는 공고가 매우매우 많았으며, 드물게 인턴을 뽑는 곳도 있었으나 이 회사는 FE 지식도 아는 사람을 선호했다(HTML, CSS 등). 모든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원하는 인재상을 정리해보자면,

뛰어난 커뮤니케이션 능력, Figma나 Wireframe 등의 업무 툴 활용 능숙, 해당 분야의 도메인 지식을 갖춤

의 세 가지 정도가 있겠다.

또한 기업 업종에 따라, 규모에 따라 디자인 업무 혹은 개발 업무를 같이 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 같은 UX/UI 기획자 공고가 올라왔다고 해서 똑같은 업무를 하게 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다른 팀의 발표를 통해서도 각 직무별로 길러야 하는 역량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건 토요일의 내가 정리해주기로 했다. 암튼 그럼)

 

그러나 우리가 살펴야 할 것은 직무명이 아니라, 직무의 본질일 것이다.

출처: 그로스쿨 최기영님

2. MVP와 린스타트업

 

3. PMF

3-1. PMF

3-2. PMF를 확인 하는 방법들

- NPS(추천지수)

- 직접 물어보기 (션 앨리스)

- AARRR & Retention

3-3. PMF를 맞추려면 트렌드를 읽자!

3-4. KPI

 

4. Growth Hacking

5. North Star Matric & OMTM(One Matric That Matters)

5-1. North Star Matric

5-2. OMTM

5-3. 좋은 지표의 조건: SMART

 

6. 프로젝트 개발 방법론 : Waterfall 방식 vs Agile 방식

- North Star Matric

- OMTM

느낀점, 할 일

오전에 많이 졸렸다.,,,.. 체력을 길러야겠다

그로스 해킹, 애자일 방법론에 대해 많이 들어보긴 했는데 조금 더 명확히 알게 되었다. 

할 일은! 트렌드 흐름을 읽어보아야겠다. 이번년도 박람회 어땠는지 확인해보기, 우리나라 엔젤 투자자들의 투자 동향 살펴보기 등

 

주말의 나야 미안하다 배운거 정리하라했더니 배운 순서만 적고 앉아있는 나... 하지만 반 쯤 감긴 눈으로 침대에 앉아 새벽 1시 11분까지 글을 쓰고 있는 나 제법 멋있어요

 

끝